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외재론
- 슬슬 어지러운걸?
- 포더
- 학원
- 홍지콩
- 사교육
- 홍석콩
- 트윗어플
- 트위터 푸시
- Fodor
- 박스카 세팅법
- Osfoora
- 쌍둥이 지구
- 제이미
- 오스푸라
- 퍼트남
- 한컴뷰어
- 트윗 푸쉬
- 빌어먹을 티켓링크
- 티켓링크 야구 예매 취소
- 개별자론
- 레드덕
- 아이폰
- 신민아
- 여친사진가이드캠
- 박스카 무료ㅠㅠ
- 글쓰기 참 쉽죠?
- 얼지마 죽미자 부활할꺼야
- 아이폰 어플
- 추신수
- Today
- Total
목록Philosophy of Mind (13)
휴지없는 변소
좁은 내용에 대한 포더의 거부(Fodor's Rejection of Narrow Content) - The Elm and the Expert(1994a)에서 포더는 과학적 심리학이 좁은 내용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말함으로써 개별자론에 대한 그의 주장을 포기한다. 하지만 이는 포더가 ‘인과력으로부터의 논변’을 덜 확신하게 되었고, 좁은 내용의 개념에 대한 정합성을 의심하게 되었기 때문이지 개별자론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우리의 심성 내용은 넓은 심리학만으로도 충분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좁은 내용에 관한 설명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쌍둥이 사례 오스카는 술집에서 술 몇 잔을 한 이후에 집으로 돌아왔다. 그는 숙취를 원치 않았고, 숙취 해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좁은 내용(Narrow Content) - 통속 심리학이 적어도 우리의 지향적 상태의 일부를 비-개별자론적으로 개별화한다고 가정하면, 과학적 심리학이 개별자론적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자들은 다음의 두 가지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1) 첫 번째 선택 : 지향적 속성들은 과학적 심리학의 설명에서 적절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주장함 - 스티치는 과학적 심리학은 구문론적이며, 지향적 상태는 의미론이 아닌 구문론에 의해 개별화된다고 주장한다. =>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다음의 두 가지 이유에서 적절하지 못하다. 1) 과학적 심리학의 목표는 우리의 지향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순전히 구문론적인 심리학이 이러한 지향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분명하지 않다. 2) 포더가 지적하였듯이, 구문론적 심리학이 ..
오늘 이화여대 인문과학 연구소에서 열렸던 세바스챤 승(Sebastian Seung)의 강연을 듣고 왔다. 세바스챤 승은 하버드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지금은 MIT에서 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주목받고 있는 젋은 학자이다.(철학자 승계호 선생님의 아들이기도 하다) 오늘은 강연 주제는 커넥텀(connectome)이었다. 커넥텀이란 무엇긴가에 대해서 매우 간단히 설명하자면, 뉴런(neroun)이 신경계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인 것처럼 뉴런들이 모여서 기능을 하는 신경과학적인 기능적 단위이다. 커넥텀과 관련된 세바스챤 승의 가설은 다음의 말들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Q: Who am I? A : I am my connectome and Human nature lies in the shared aspects of..
[2] ‘A Modal Argument for Narrow Content’(1991a)에서의 포더의 주장 - 포더는 쌍둥이들 각각의 사고에서의 차이가 인과력에서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에 대한 필요조건을 만드는데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쌍둥이의 사고 사이의 차이점과 그들이 만드는 결과 사이의 차이점 사이에는 개념적인 연결이 있기 때문이다. - 포더는 퍼트남의 쌍둥이 사례에 적용될 수 있는 도식을 기술한다. 그는 이를 ‘도식 S’라고 이름 붙였다. 도식 S는 다음과 같다. C1과 C2는 한 쌍의 사건이며 E1과 E2는 그들 각각의 결과이다. C1은 CP1을 원인속성으로 가지는데 반해 C2는 CP2를 원인속성으로 가지기 때문에 C1과 C2는 다르다. E1은 EP1을 결과속성으로 가지고, E2는 EP2을 ..
- 포더는 퍼트남의 쌍둥이의 지향적 상태에 대한 반론으로 두 가지 형태의 인과력으로부터의 논변을 제시한다. [1] Psychosemantics(1987)에 나타난 포더의 주장 - 포더는 어떠한 과학 체계에서도 나타나지 않는 두 속성을 도입한다. 1) H-입자(H-particle) - 물리적 입자는 시각 t에 H-입자이다. iff 포더의 동전이 시각 t에 앞면일 경우 2) T-입자(T-particle) - 물리적 입자는 시각 t에 T-입자이다. iff 포더의 동전이 시각 t에 뒷면일 경우 - 만약 포더가 그의 동전은 앞면에서 뒷면으로 튀긴다고 하면, 우주상의 모든 입자는 ‘H-입자임’에서 ‘T-입자임’으로 바뀔 것이다. 그렇다면 H-입자와 T-입자의 인과력은 다른가? 두 유형의 입자 사이에 차이점이 있는 ..
인과력으로부터의 논변(The Argument from Causal Power) - 개별자론을 옹호하거나 반대하는 주장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 현재의 과학적 심리학의 실천과 설명적 목표, 이론적인 표명과 관된 주장 2) 형이상학적 혹은 선험적 본성에 대한 주장 - 이러한 주장은 일반적인 법칙과 과학적 설명, 인과의 본성과 관련이 있음 - 포더의 주장은 위의 두 가지 범주에서 어디에 속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개별자론에 대한 포더의 가장 두드러진 주장이 형이상학적 혹은 선험적인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주장은 Psychosemantics(1987)에 먼저 나타났으며, ‘A Modal Argument for Narrow Content'(1991a)에서 추가되었다. ..
이 글은 M. J. Cain의 『Fodor: Language, Mind and Philosophy』, 2002, Polity Press : Blackwell의 chpater 6을 요약한 글임을 밝힌다. 들어가며(Introduction) ☆ 최근 심리철학의 주요 논쟁거리 - (통속 또는 과학적)심리학이 어떻게 지향적 상태를 개별화하는가 => 심리학이 우리의 내재적인 물리적 속성에 수반하는 속성에 의해 심성 상태를 개별화할 수 있는가의 문제 1) 개별자론(individualism) - 이것이 가능하다고 주장 (->따라서 좁은 내용을 가짐) 2) 외재론(externalism) - 주체의 외부에 있는 세계의 본성과 주체와 세계와의 관계가, 주체가 예화하는 심리학적 속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비-인과적인 역..
몇몇의 보다 유효한 반론(Some More Telling Objection) 1. 첫 번째 반론 - 포더의 내용에 관한 이론은 대상 인지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한 우리의 지향적 상태에는 적용되지 못한다. - 포더의 이론이 실제로 우리의 지향적 상태에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왜냐하면 많은 비-논리적인 LOT 기호의 경우에서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AARDVARK라는 LOT 기호에 대해 고려해자. 이 기호가 아드바크의 의미에 대한 포더의 충분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아드바크가 나에게 AARDVARK의 토큰을 야기하는 것이 법칙이어야 한다. 만약 내가 대낮에 아드바크 앞에 서 있다고 하면, 이 생물은 매우 많은 다양한 속성을 가질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대상 지각 체계는 아드바크가 가지고 있는..
포더 이론의 몇 가지 잠재적 문제 (Some Potential Problems for Fodor's Theory) 1. 첫 번째 반론 - 의미의 본성에 대한 포더의 개념은 매우 엄격하다(austere) - 포더에게 있어서 기호 혹은 개념의 의미는 그것이 표현하는 속성의 문제일 뿐이다. 따라서 동일한 속성을 표현하는 또는 동일한 지시체를 가지는 기호와 개념은 의미론적으로 동일한다. 예를 들어 물임의 속성과 H2O임의 속성처럼, 물의 개념과 H2O의 개념이 동일한 속성을 표현하면, 동일한 지시체를 가지는 것이며, 동일한 마음-세계 간의 인과적 법칙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 두 가지의 개념이 동일한 내용을 가진다는 것이 포더 이론이 지닌 함축이다. => 그러나 프레게는 물과 H2O가 동일한 속성을 표현하거..
CRS에 대한 포더의 두 번째 반론 - 포더에 따르면, 복잡한 개념의 내용은 그것을 구성하는 개념의 내용과 그것들이 결합되는 방식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구성적이다. CTM을 가정하면, 이러한 생각은 복잡한 LOT 기호의 내용은 그것을 구성하는 기호와 통사론적 구조에 의해서 결정된다 것을 의미한다(LOT는 조합적인(combinatorial) 의미론을 가진다) 따라서 만약 누군가가 ‘THE DOG IS FIERCE’라는 문장에서 각각을 구성하는 개념의 의미를 알고, 그것의 통사론적 구조를 이해한다면, 그 사람은 복잡한 개념 혹은 기호의 의미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아는 것이다. 포더는 내용이 구성적이라는 것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로 사고의 생산성(productivity)과 체계성(systematic..